학과안내

  • 불교학과
  • 응용불교학과
  • 홈 HOME
  • 학과안내
  • 불교학과
불교학과
  • ■ 선수과목
  • 불교개론(Introduction to Buddhism)
  • 불교에 대한 기본적 교리를 소개하는 교과목으로, 인도에서 불교가 성립한 이후 전개된 불교사상을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개관한다. 나아가 동아시아불교의 사상을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불교적으로 해석하고 모색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불교영어(Buddhism in English)
  • 불교의 세계화 과정에 필수적 요소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영어문법과 작문 및 불교전문용어를 영어로 익히고 불교설법문형을 익혀서 English Dharma Talk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불교한문(Buddhist Classical Chinese)
  • 한문경전을 바르게 이해하고 한문경전번역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 불교한문의 문법, 문장분석과 의미분석의 방법, 불교한문의 정독과 해독법을 길러준다.
  • ■ 전공(이론)
  • 대승불교사상
  • 대승불교의 기원 및 그 성립에 대한 현 학계의 주요 학설을 소개 비판하고, 대승경전 전반의 주요사상을 개관한다. 그리고 대승불교의 근간이 되는 초기대승불교(반야, 법화, 화엄, 정토)의 주요 교리체계를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조망한다.
  • 동아시아불교연구Ⅰ(Seminar : East Asian BuddhismⅠ)
  • 동아시아에 수용된 불교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 문화적으로 상호 관계 속에서 변용되었던 불교의 변용과정과 특징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동아시아불교미래의 방향과 대안을 점검해 본다.
  • 반야중관사상(Prajñā and Madhyamika Thought)
  • 반야경의 주요 사상과 이에 의거한 용수에 의해 천명된 중관사상은 대승 불교의 근간을 이룬다. 본 강좌에서는 <중론>을 비롯한 용수의 저술에 제시된 공의 사상과 두 가지 진리(二諦)의 이론을 토대로 중관학파의 주요 사상을 연구한다.
  • 불교와 비교철학(Buddhism and Comparative Philosophy)
  • 세계 정신사의 주요한 흐름을 이해하고 사유의 근본문제들을 다루는 철학사상과 불교사상을 비교한다. 개인과 세계의 여러 문제를 불교와 철학의 입장에서 논의하며 불교와 동서양철학의 공통주제를 비교분석한다.
  • 유식사상연구Ⅰ(Seminar : Yogācāra ThoughtⅠ)
  • 유식사상은 중관사상과 더불어 대승불교의 양대 산맥이다. 유식사상이 근간이 되는 주요 경론을 중심으로 유식사상의 형성배경과 그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유식사상의 3대 이론이라 할 수 있는 알라야식설, 삼성설, 보살도(수행론) 등을 연구한다. 더불어 현대학계에서 유식사상과 연계 가능한 인접학문과의 학제적 연구의 의의도 조명한다.
  • 유식의 심리학(Psychology in Consciousness-Only)
  • 유식학의 알라야식을 기반으로 한 마음의 구조를 이해한 후, 동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분석심리학 등과의 통합적 이론모델을 모색한다. 또한 유식의 실천적 구조이해를 통한 보살도의 명상심리체계 정립과 명상심리치료 등과의 연계를 위한 이론적 모델을 탐구한다.
  • 율장과 불교윤리(Vinaya and Buddhist Ethics)
  • 불교에서 율장과 불교윤리는 불교적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교과목이다. 율장과 불교윤리에서는 교단의 생성과 발전, 승가의 규율과 생활, 각 나라의 승가의 모습, 불교의 기본윤리와 불교생태, 타종교의 윤리를 고찰하고 현실에 승가의 모습과 불교윤리 실천의 실천방향에 대해 검토해본다.
  • 전법학 연구Ⅰ(Seminar : Buddhist Missionary Studies)
  • 불교의 전법과정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전법 연구서의 소개와 문제점, 전법의 의미와 기원, 소승과 대승의 전법, 지역별, 계층별, 직능별 포교와 전법과정의 특성, 체계적인 전법을 살펴보고, 전법을 위한 주요한 질적, 양적 자료를 살펴보고, 현재 전법의 방향과 전법의 기법을 고찰한다.
  • 중국불교연구Ⅰ(Seminar : Chinese Buddhism)
  • 중국불교학 연구에 대한 소개나 비평과 더불어 인도로부터 불교가 수용되어 당, 송, 명, 청과 근.현대의 중국불교에 이르기까지 중국불교의 역사와 사상, 문화와 불교전파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중국불교의 특징과 그 역할을 고찰한다.
  • 초기불교수행론(Soteriology in Early Buddhism)
  •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보존하고 있는 초기불전과 초기불교 연구서의 체계적인 소개나 분석을 통해 부처님 생애, 경전의 내용, 승단의 문제 그리고 사성제, 팔정도, 연기, 오온, 12처, 18계 등 불교사상의 토대를 연구한다.
  • 화엄사상연구Ⅰ(Seminar : Huayan Thought)
  • 불교의 핵심사상 중 하나이자 인도, 중국, 한국불교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화엄사상과 관련된 경론과 학제적 연구성과를 소개 비판하고, 화엄사상의 성립배경과 화엄경의 핵심사상과 특징 그리고 그 문헌적 해석과 타종파간의 논쟁 등을 고찰하여 진리와 세계의 본질을 살펴본다.
  • ■ 전공(실습)
  • 불교의례작법실기(Practice : Buddhist Rites)
  • 유형, 무형 불교의례와 의식의 내용을 조사연구하여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의식집전을 통해 불교의례를 습득해 나가기 위해 실참실수를 겸하는 교과목이다.
  • 전법실수(Practice : Buddhist Propagation)
  • 전법학을 토대로 실제로 설법자료를 구성하고, 설법문안 작성을 통해 단계적으로 설법을 연습한다. 또한 시간, 지역, 대상과 내용을 고려한 개인과 집단의 전법을 준비, 실천, 평가하는 기법을 배운다. 전법실수 이후 토론을 통해 문제점과 그 대안을 탐구하는 교과목이다.